Atahulapa Yupanqui


바람의 노래, 길위의 시인 아따우알빠 유빵끼

누에바 깐시온의 태동은 일찍이 40년대부터 비롯된다. 바로 아따우알빠 유빤끼의 선구적 업적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누에바 깐시온의 아버지로 지칭되는 유빵끼는 메르세데스 소사(Mercedes Sosa), 빅토르 하라(Victor), 비올레따 빠라(Violeta Parra), 쿠바의 음유시인 실비오 로드리게스(Silvio Rodriguez), 파블로 밀라네스(Pablo Milanes) 그리고 브라질 민중음악 부흥운동의 주역 밀퉁 나시멘투(Milton Nascimento) 등 일련의 새로운 노래운동의 예술가들에게 귀감이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본명 엑또르 로베르또 차베로 우람부루(Hector Roberto Chavero Uramburu) . 라틴아메리카를 대표하는 가수, 연주자, 작곡가, 시인, 작가. 그는 1,200 곡 이상 노래를 만들었으며 8 권의 문집도 출간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tahualpa Yupanqui이란 말은 케츄아어(Quechua)로 '멀리서 와서 노래하는 사람'이란 뜻.
그리고 이 이름에는 잉카제국의 슬픈 역사가 담겨있다.
잉카제국 최대 정복자인 제 9대 왕 빠차꾸띠 잉까 유빤끼(Pachacuti Inca Yupanqui)와 잉카제국 최후의 왕 아따우알빠( Atahualpa), 이 두 왕의 이름을 합쳐 하나의 고유명사로 만들었다.
12대 왕 우아이나 카팍 (Huaina Capac)의 타계 후 두 이복형제 아따우알빠와 와스까르(Huascar) 간에 내란이 발생한다. 이 싸움에서 아따우알빠가 승리하여 왕위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는 아메리카의 주인 인디오에겐 불행의 시작이었다. 바로 유럽의 식민지 개척의 출발기, 즉 정복자들의 신대륙 침략기였다.


1532.11.16. 167명의 피사로(Francisco Pizarro) 일행에게 잉카는 정복당한다. 아따우알빠는 체포되었고 석방조건으로 피사로는 금 6톤을 요구한다. 그러나 피사로는 더 많은 금을 요구했고, 아따우알빠는 피사로에 의해 1533년 8월 29일 쿠스코의 중앙광장에서 왕위계승 당시 이복 형 와스까르를 죽인 죄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유빤끼의 아버지는 인디오 혈통으로 께추아의 피를 이어받았고 어머니는 바스끄족이었다. 소위 그는 메스티조였으며 척박한 현실 속에서도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소박하고 아름다운 정설르 노래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

9살 무렵~사춘기
가족이 사탕수수 특화지인 뚜꾸만으로 이사하면서 그곳의 생활을 체험하고 훗날
"Luna tucumana(뚜꾸만의 달)", "Nostalgias tucumanas(뚜꾸만의 향수)","Zamba del grillo(귀뚜라미의 노래)", "La tucumanita(뚜꾸만 사람)" 등으로 발표된다.

의학을 공부하기엔 너무 가난하여 기타를 치기 시작하였고, 14세 때 처음 쓴 시에 '아따우알빠'라고 서명하면서 부터 인디오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표명했다. 사춘기 시절 그는 스스로 생계를 꾸려나가야 할 만큼 가정형편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하역인부, 서기, 원고교정 등 샐활 방편이 되는 가능한 일은 모두 해야만 했다.

라틴 아메리카의 자연이 그의 강의실이었고 경험이 스승이었다고 유빤끼는 말하지만, 그가 직접적으로 영향받은 스승은 알미르 밥띠스뜨(Almir Baptist)였다. 밥띠스뜨로부터 기타 뿐만 아니라 클래식 음악의 작곡가들-알베니스(Albeniz), 타레가(Tarega), 슈베르트(Schubert), 리스트(Liszt), 베토벤(Beethoven), 바하(Bach), 슈만(Schumann) 등- 도 접하게 된다.

1927년 19세 처음으로 'CAMINO DEL INDIO(인디오의 길)' 을 작곡한다.
첫 번째 레코딩 song book(RCA Victor):
"La andariega(걷기 좋아하는 사람)", arrives It ", " La churque", "Tierra Juje?", " Kaluyo de Huascar ", " Viento, viento(바람, 바람)", " Camino de los valles(산골짝의 길)", " Ca?da Honda ",

그는 20대에 접어들면서 아르헨티나의 여러 지방(빰빠, 엔뜨레리오스, 꼬르도바, 뚜꾸만 등등)을 떠돌아다니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안데스 일대의 페루와 볼리비아까지 방랑의 길을 거닐며 그 지방의 전통음악들을 채보한다. 그는 멈추지 않고 칠레, 베네주엘라, 콜롬비아 각지를 돌며 그곳의 생활상을 체득한다. 유빵끼는 도시를 노래하기 보다 자연을 노래했고 자연과 어우러져 사는 형제들을 노래했다.

1943년 소설 " Horizontes de Piedra(돌의 지평선)"," Cerro Bayo(바닷가 언덕)"/" Aires Indios(외로운 인디오)" Piedra Sola(돌, 태양)" 출간

1945년 공산당 입당, 하지만 정치적 입장의 차이로1952년 당 위원직을 사임. 특히 페론 정부에 대한 비판적 입장과 태도 때문에 1947년부터 1953년까지 그의 모든 음반, 방송, 공연 그리고 그와 관련된 노래가 금지따지를 붙이게 된다. 8회에 걸쳐 투옥 당함

1948년 프랑스의 올림피아 그장에서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의 개막공연 데뷰를 치루면서 유럽 무대에 처음으로 그의 이름을 알렸다. 또한 파리 음악계로 자신을 입성시켜준 피아프 뿐만 아니라 피카소(Picasso), 루이스 부뉘엘(Luis Bunuel), 폴 엘리아르(Paul Eluard) 등과도 친구로 지냈다.

1949년 유럽여행에서 헝가리, 체코,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공산화 목격
1950년 60여회 이상의 유럽 공연으로 주목을 받은 유빵끼는 저명한 아카데미 샤를르 그로스( Academie Charles Gros de Paris) 최우수 외국인 음반상을 수상한다. 이후 1969년 한 차례 더 이 상을 받았다.

1953 "Tierra querida(땅은 원한다) ", "Chacarera de las piedras(돌의 농부)", " Recuerdos del Portezuelo(뽀르떼수엘로의 추억)", " La Tucumanita(뚜꾸만)", " INDIECITO DORMIDO(잠자는 인디오 아기)", "Lloran las ramas del viento(울고있는 바람의 가지)", "La humilde(비천한 사람)", " Le tengo rabia al silencio(침묵에 대한 분노)", " Luna tucumana(뚜꾸만의 달) "등 발표
1960 유럽 컨서트 투어,
1968 일본에서 활동시작 recordings: " Los ejes de mi carreta(내 짐마차의 도끼)", " Sin caballo y en Montiel", "La alabanza(찬양)", " Cantor del sur(남쪽의 가수) ", "El canto del viento(바람의 노래)"책 출간
1967년 Prize of the Festival of Cosquin(꼬스킨 페스티발; 아르헨티나의 국제가요제) 수상
1968, 1969 Prize of the Academy Charles Cross de Par? (최우수 외국인 음반)
1972 아르헨티나 1973 멕시코 1978 베네주엘라 1979 콜롬비아 등등의 국가로부터 훈장 등 수여
1983Inter-American Council of Musica of the O.E.A.로부터 명예 학위 받음
1985 Prize Konex de Platino 포크가수상 수상
1986"Caballero de las Artes y Letras(문학예술인)"상 수상 (프랑스 문화부)
1990 아르헨티나 국립 코르도바 대학으로부터 명예박사 수여
1991 Buenos Aires(아르헨티나 수도, 아름다운 하늘이란 뜻)를 빛낸 시민으로 추대
1992년 5월 23일 바르셀로나 유럽컵 축하공연을 보고있던 사람들은 갑자기 방송이 중단되고 속보가 나오는 것을 보았다. 그것은 유빵끼의 죽음을 알려는 뉴스였다. 그의 고매한 얼굴과 그의 친숙한 음반자켓, 시집과 산문집들이 스페인과 프랑스 TV화면에 속보로 이어졌다.
1992. 5. 23.  20년간 여생을 프랑스에서 보내다 사망.
미망인 Antonieta Paula Pepin Fitzpatrick de Chavero

[공동작곡]
"El sacrificio de Tupac-Amaru(투팍 아마루의 희생)"는 엔소 히에꼬(Enzo Gieco)와 Ra? Maldonado (1971)
"La Palabra Sagrada"는 후안 호세 모살리니(Juan Jos?Mosalini)와 엔소 히에꼬(Enzo Gieco)(1989)
책으로 " Guitarra(기타)", "El payador perseguido", " del algarrobo al cerezo(알가보로에서 앵두나무로) "




AND